그리고 클러치 떼었다 다시 연결 할 때에 차가 덜컹거리는 느낌이었다면?
엔진에 무리가 가겠지만 그런건 전혀 없었으니까요..
다만 클러치는 좀 빨리 마모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있지만 평지 주행 때도 클러치를 적절하게 쓰면,
오히려 부드러운 주행이 되더라는 생각으로 여태 수시로 클러치를 사용하는 주행을 해왔습니다...
아, 그리고 저는 스스로 관성을 이용한 운전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오토를 타는 지금은 하고싶어도 할 수 없는 일이지요.
오토 자동차에도 클러치가 있다면 좀더 기름이 절약 될텐데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오토가 기름이 더 많이 소모되는게 이렇게 낭비되는 에너지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의문은 오토에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언제부터 클러치가 떠어지는게 적용되는지 궁금하더군요..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진 상태에선 브레이크가 덜 마모 되겠지만 브레이크를 밟아도 어느시점까진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엔진 돌아가는 힘과 브레이크가 싸워서 기름도 더 낭비되고 또 브레이크 패드도 더 빨리 마모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엔진에 무리가 가겠지만 그런건 전혀 없었으니까요..
다만 클러치는 좀 빨리 마모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있지만 평지 주행 때도 클러치를 적절하게 쓰면,
오히려 부드러운 주행이 되더라는 생각으로 여태 수시로 클러치를 사용하는 주행을 해왔습니다...
아, 그리고 저는 스스로 관성을 이용한 운전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오토를 타는 지금은 하고싶어도 할 수 없는 일이지요.
오토 자동차에도 클러치가 있다면 좀더 기름이 절약 될텐데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오토가 기름이 더 많이 소모되는게 이렇게 낭비되는 에너지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의문은 오토에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언제부터 클러치가 떠어지는게 적용되는지 궁금하더군요..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진 상태에선 브레이크가 덜 마모 되겠지만 브레이크를 밟아도 어느시점까진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엔진 돌아가는 힘과 브레이크가 싸워서 기름도 더 낭비되고 또 브레이크 패드도 더 빨리 마모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