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되어 있는 메인보드 메뉴얼에 보면은 12V 4핀이라고 적혀 있긴 한데 4핀 12V 커넥터가 하나 더 있어야 하는 건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조립만 했지 RGB가 수냉 일하는 건 처음 알게 되었더라고요.
한계고 그걸 허브로 분배해서 여러 개 연결해서 사용하면 장착이 가능한데 수냉장착 할 때 기본팬 몇 개 그건 커넥터로 연결 레규레이터 한 개 이걸 뽑아야 되는데 한 김연은 허브 사용 해야 되나 pwm 따로 지정해서 속도 조절 해야 되는데 같은 후에 같이 연결해서 사용하면 레귤레이터 하고 냉각팬 하고 같은 RPM으로 돌아간다고 하더라고요. CPU가 발열이 있다면 방열판 팬이 그걸 시키고 빠르게 돌아가는데 팬허브 레귤레이터 같이 사용하면 팬 속은 같이 레귤레이터까지 동작에서 소음이 어느 정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파워와 바로 연결하면 풀로드 회전하기 되는 거고 생각보다 수냉의 레귤레이터 소음이 좀 되는 것 같기도 하다는 것 같아요 이야기가 들리는 것 같더라고요.
그냥 이래저래 공랭 그냥 하나 달아가 있는데 별로 차이가 나면 한번 해 보려고 하고 아무래도 폭스콘 h61mx 2.0 버전 바이오스가 있던데 이걸 먼저 업데이트 해 보는게 좋을 듯 하더라고요.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솔직히 설명을 읽어봐도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h61 메인 보드가 VGA 카드와 호환성 문제가 있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해결을 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먼저 호환성부터 확인해 보는게 좋겠지요.

허수아비 컴퓨터도 아니고 동일한 증상이 때문에 이래저래 고생 하다 보면은 관련된 정보들이 많이 나와 있을 것입니다.

바이오스 설정은 두 가지 같은데 먼저 외장그래픽을 빼고 바이오스 들어가서 설정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초기 디스플레이 pice 또는 내장그래픽 선택 모니터 연결 pcie 외장그래픽 ig 에프엑스는 메인보드에 연결 할 겁니다.
설정이 달라도 모니터가 하나라면 되긴 될 텐데 말이지요. 하드 디스크 부팅 순서는 바이오스에 따라 부팅순서 정해 주는 곳이 두 군데 있는데 일단 외장하드디스크 연결하고 바이오스 진입 부팅순서를 설정해보세요. USB HDD 연결이 안 되면 후순위인 내장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되지만 USB HDD가 연결되어 있으면 선순위로 먼저 부팅 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